다문화주의 시대를 맞이하는 것은
근대성의 차이와 차별의 문제를 제기하고
각 국가의 개별적 특성을 뛰어넘는 현대문명에 대한 놀랄 만한
도전을 시작하는 것이다.
지금 한국은 다문화 시대로 들어선 것이 아니라 그 한가운데 있다.
이주여성, 이주노동자들은 점점 늘어나서, 이제 우리 생활공간 어디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정부와 각종 사회단체들은 다문화시대에 일어날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해 비교적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하지만 이론적 측면에선 다문화 시대에 대한 시각들을 종합하고, 이후 이를 연구하는 데 쓰일 연구기반들이 많지 않다.
<다문화주의>는 프랑스의 문고판 시리즈 "끄세주(Que sais-je?)"의 일환으로 저술되었다.
이 책은 미국의 다문화 현상을 이론적으로 해석하였다.
미국은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그 국가 성립 자체가 다문화적 성격을 띠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책이 담고 있는 바는, 미국이 어떻게 차별과 배제의 역사에서 평등과 화합의 역사로 가고 있는지, 또 그 과정에서 겪어야 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잘 보여주고 있다.
바야흐로 다문화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이를 반면교사로 삼고 새로운 시대를 준비해 갈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새로운 시대에 알맞은 새로운 인문학 정신과 그 이론적 요구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 목차 ]
역자 서문
서론
제1장 역사적인 뿌리와 실제 배경
1. 인디언의 문제
2. 노예제도와 아파테이드
3. 종교이민들
4. 앵글로 색슨의 모태
5. 이민의 증가와 민주주의의 변화
6. 미국 사회의 확대
7. 경제적 변동
8. 정체성과 정책
9. 피할 수 없는 싸움
제2장 다문화에 대한 논쟁들
1. 차이에 대한 정치적 독해와 문화주의의 독해
2. 교육
3. 성(姓)전쟁
4. 정체성에 대한 요구들
제3장 정치적으로 올바름(Politically Correct)
1. 표현에 대한 나쁜 평가
2. PC와 언어이론
3. 새로운 완벽한 언어?
4. 적절한 거리의 추구
제4장 인식론의 난제
1. 다문화적 인식론
2. 단일문화적 인식론
3. 개념상의 난점
제5장 민족성, 개인주의, 공적 영역
1. 개인을 위한 사회를 향하여?
2. 대화관계에 의한 자아와 인정
3. 개인주의에서부터 주체성까지
4. 사회문화 요소의 영향력
5. 공적 영역으로부터 사회문화적 영역으로
6. 의미기호 영역으로서의 사회문화 공간
제6장 공공 영역과 다문화 영역
1. 다문화주의의 정치적 목적
2. 다문화 영역의 네 가지 모델
3. 다문화 공공 영역은 가능한가?
4. 프랑스의 예
제7장 다문화주의와 근대성의 위기
1. 차이와 동일성
2. 정치적 패러다임에서 윤리적 패러다임까지
3. 합리주의와 상대주의
결론
역자 해제
참고문헌
지은이 소개: 안드레아 셈프리니(Andrea Semprini)
[ 지은이 안드레아 셈프리니(Andrea Semprini) ]
사회학자
릴 1대학 사회학과 교수
CELSA와 IEP 출강, 밀라노 IULM 대학 초빙교수
주요 저서
L'OBJET COMME PROCÈS ET COMME ACTION: De la nature et de
l'usage des objets dans la vie quotidienne, L'Harmattan, 1995.
ANALYSER LA COMMUNICATION: Comment analyser les images, les médias,
la publicité, L'Harmattan, 2000.
LA SOCIÉTÉ DES FLUX: Formes du sens et identité dans les sociétés
contemporaines, L'Harmattan, 2003.
ANALYSER LA COMMUNICATION (Volume 2): Comment analyser la
communication dans son contexte socioculturel, L'Harmattan, 2007.
INTRODUCTION
[ 옮긴이 이산호 ]
파리 8대학 문학박사
중앙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중앙대학교 다문화콘텐츠연구사업단(한국연구재단 지정 중점연구소) 공동연구원
주요 저술: 다문화의 이해(공저, 도서출판 경진, 2009)
논문: 「프랑스의 사회통합정책과 유네스코의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에 관한 협약’」, 「프랑스문화예술연구」(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09) 외 다수
[ 옮긴이 김휘택 ]
파리 10대학교 언어학박사
중앙대학교 다문화콘텐츠연구사업단(한국연구재단 지정 중점연구소) 연구 교수
주요 저술: 다문화의 이해(공저, 도서출판 경진, 2009)와 한국사회의 소수자들: 결혼이민자(공저, 도서출판 경진, 2009) 외 다수 논문
도서명: 다문화주의: 인문학을 통한 다문화주의의 비판적 해석
원서명: Le Multiculturalisme
지은이: Andrea Semprini
옮긴이: 이산호·김휘택
ISBN 978-89-5996-082-8 93300
46판 양장 / 페이지 224쪽 / 가격 10,000원
'인문사회 > 다문화콘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문화의 이해: 한국의 언어와 문화 (0) | 2021.01.20 |
---|---|
다문화주의(Le Multiculturalisme): 국가정체성과 문화정체성의 갈등과 인정의 방식 (0) | 2021.01.19 |
다문화주의 이론: 철학과 사회과학의 지도 (0) | 2021.01.18 |
한국 역사 속의 문화적 다양성(다문화총서 6) (0) | 2020.11.25 |
동서양 역사 속의 다문화적 전개 양상 2(다문화총서 5) (0) | 2020.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