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 언어학의 한계]
인간만이 지니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언어’는 1950년대에 지성사의 연구 초점을 협소한 경험주의 또는 행동주의로부터 벗어나, 더 심층에 있는 이성주의 또는 합리주의의 연구로 전환케 만든 중요한 대상이다. 그렇지만 인간의 머릿속에 있는 이성에 대한 탐색으로 언어를 다룰 때에, 머릿속 언어만을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1인칭 진술 속에만 갇혀 있다는 비난을 받거나 보다 설득력 있는 상호주관적 자료를 확보할 수 없는 한계가 지적되곤 하였다.
[일상언어 철학 또는 화용론]
1980년대 이래로 언어에 관심을 둔 흐름들에서는 꾸준히 언어 자료를 광범위하게 모아 전산 처리를 통해 언어의 본질과 언어 사용에 대한 핵심을 드러내려고 노력해 왔다. 뿐만 아니라 언어의 참모습이 진공 속에 갇혀 있는 순수한 모습이라기보다는 실제 인간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적나라한 변이체(참된 실생활 자료)들이라는 자각이 일찍이 형식 언어학에 반발하여 사회언어학이란 이름으로 시작되었고, 분석철학의 한계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언어 사용의 이면에 들어 있는 질서를 찾아내는 흐름이 일상언어 철학 또는 화용론이란 이름으로 개척되어 왔다.
[담화는 언어교육에 응용되어야 하는 중요한 분야]
21세기에 들어서서 이런 흐름을 포괄하기 위하여 언어학ㆍ철학ㆍ심리학ㆍ사회학ㆍ인공지능 등에서 서로 비슷하게 ‘담화’ 또는 ‘텍스트’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하였다. 한마디로 말하여, 담화 영역에서는 1차적으로 언어와 비언어의 본질에 대하여 자각하고, 이런 도구들을 사용하는 일에 대하여 깨우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담화는 직접적으로 언어교육에 응용되어야 하는 중요한 분야인 것이다.
[말뭉치 속에 있는 언어 사용 방식들을 거시적 차원의 담화 시각에서 실증적으로 분석]
영국 노팅엄 대학의 마이클 머카씨 교수는 특히 어휘 및 입말 담화에서 큰 업적을 이룬 응용언어학 대가이다. 이 책에서는 특히 영국의 입말 말뭉치를 구축하고(노팅엄 담화뭉치로 부름), 그 말뭉치 속에 있는 언어 사용 방식들을 거시적 차원의 담화 시각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해 줌으로써, 언어 사용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일반 인지전략의 구현 방식임을 입증해 준다. 어휘, 관용구, 인용 표현, 시제 형태소의 연결 등도 모두 담화의 전개를 뒷받침해 주는 다양한 도구들로서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해 나가는 실체들인 것이다. 여기서 다뤄지는 자료는 영국의 입말 연결체들이지만(따라서 영어교육에 필수적이지만), 그 밑에 깔려 있는 보편 질서는 어느 언어 사용에서든지 다시 검토되고 확정될 수 있는 실체들이다.
[이 책이 갖는 의의]
누구나 어려움 없이 쓰고 있기 때문에, 언어는 일견 매우 단순해 보일지 모른다. 그렇지만 언어와 언어 사용의 꺼풀을 한 켜씩 벗겨내게 되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층위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맞물려 작동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또한 이런 복잡한 일을 아무 어려움 없이 잘 해 나가는 인간의 능력을 찬탄치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렇지만, 언어 교육은 그런 무의식적이고 절차 지식에 속한 내용들을 하나씩 하나씩 의식적으로 재점검하며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힘을 길러 주는 의도적 과정이다. 이 책은 이런 관점에서 좋은 표본을 제공해 주며, 또한 여느 책자에서는 찾을 수 없는 지적 즐거움까지 안겨 준다. 언어와 언어 사용에 관심을 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 진지하게 읽어봐야 할 시의적절한 책자인 것이다.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입말, 그리고 갈래의 개념
제3장 입말에 대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제4장 문장 문법이 언제 담화 문법으로 되는가?
제5장 입말 및 글말 영어에서 일부 동사형태의 공기관계 유형
제6장 어휘와 입말
제7장 자주 쓰이는 관용구 : 담화에 근거하여 언어교육의 전통 영역을 재검토함
제8장 그래서 매뤼가 말하더군요 : 일상대화에 있는 인용
용어 해설
노팅엄 담화뭉치에 대한 참고문헌(1994~1998)
뒤친이의 내용 요약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뒤친이 소개
***2판에서는 <뒤친이의 내용 요약>이 추가되었습니다.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도서명]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
[원서명] Spoken Language and Applied Linguistics
[시리즈] 거시언어학 2: 담화 텍스트 화용 연구
[지은이] 마이클 머카씨(Michael McCarthy)
[뒤친이] 김지홍
발행일 2012년 10월 09일
ISBN 978-89-5996-173-3 93370
값 22,000원 / 419쪽 / 신국판 양장
'인문사회 > 거시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텍스트와 담론 분석 방법(거시언어학 5: 담화 텍스트 화용 연구) (0) | 2021.01.04 |
---|---|
담화 분석 방법: 사회 조사연구를 위한 텍스트 분석(거시언어학 4: 담화 텍스트 화용 연구) (0) | 2021.01.02 |
언어와 권력(거시언어학 3: 담화 텍스트 화용 연구) (0) | 2021.01.02 |
언어사용 밑바닥에 깔린 원리(Using Language, 1996, Cambridge University Press) (0) | 2020.12.31 |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거시언어학 2: 담화 텍스트 화용 연구) (0) | 2020.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