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교재

국어교과교육론

양정섭 2020. 11. 20. 09:11

국어교육의 정체성을 어떻게 세울 것인가?


최근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국어과 교육과정은 미군정기의 교육과정에서부터 여러 차례 변화를 거듭해왔다. 애초 출발이 미국의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했기 때문에, 우리와 여러 면에서 맞지 않은 측면이 있었고, 그 이후 수차례 교육과정을 고쳐 왔지만, 여전히 만족스러운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는 우선 우리 국어교육에 대한 짧은 역사에서 비롯된다. 아울러 국어과 내의 여러 교과들 간의 복잡한 역학 관계와 교과 외의 외부적인 문제들까지 모두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문제들이 공통적으로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무엇보다 국어교육의 정체성을 어떻게 세우느냐에 있었다. 정작 이런 정체성의 문제가 국어 교과 내에 제대로 정립되어 있다면, 굳이 교육과정을 바꾸거나 혹은 바꾸지 않더라도 학습자들에게 여전히 강력한 배움의 동기와 욕구를 불러일으키거나 혹은 시대적 상황에 휩쓸리지 않고 교육과정이 교육현장에 자연스럽게 뿌리 내릴 것이다. 



국어 교육현장의 구체적 문제 제시와 방안 제시


이 책은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그 동안 필자가 국어 교육현장에 근무하면서 겪었던 다양한 문제들과 그에 대한 소견을 밝혀 놓은 결과물이다. ≪국어교과 교육론≫이라는 책 제목을 달기에는 여러모로 부족한 면이 있지만, 국어 교육현장의 미시적이고 구체적인 문제에서부터 국어교육의 거시적이고 이론적인 문제까지를 두루 포함하려고 하였다.


책은 전체 5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총론 성격을 지닌 장으로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를 비판적 시간에서 다루고 있다. 특히 최근 교육과정이 지나치리만큼 자주 바뀌는 근원적인 문제를 국어교육 내적인 영역 구분의 논의 관점에서 다루었다. 교육과정이 자주 바뀐다는 것은 교과의 외적인 문제에도 그 이유가 있겠지만, 우선은 국어교육의 가장 기본인 국어과 영역의 틀이 허술하다는 점과 상통하기 때문이다.

2부는 3개의 장으로 구성되는데, 말하기・듣기 교육과 관련된다. 특히 대화라는 담화가 모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교육되어야 하는지를 이론과 실제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중등학교 현장에서 가장 보편적 담화인 발표를 평가와 관련시켜 어떻게 교육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모국어 담화는 다양한 준언어적 표현과 결부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3부는 읽기 교육과 관련된 3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먼저 독서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독서의 가치 문제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아울러 읽기 교육에서 가장 핵심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 요약하기를 거시규칙과 결부시켜 그 방법론적 타당성에 대해 고찰하고, 단락 중심의 의미구성 행위를 언어 수행 수준과 결부시켜 논의하였다. 

4부는 쓰기 교육과 관련되는데, 역시 3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최근 중・고등학교 현장뿐만 아니라 대학교 현장에서도 강조되고 있는 자기소개서 쓰기에 대한 문제를 이론과 실제를 포괄하여 다루었다. 또한 사회적 구성주의 바탕을 둔 협동 작문과 쓰기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의 문제를 현장연구 조사의 틀에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5부는 국어과 영역 통합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다. 입말과 글말 사용의 통합에서부터 학습자들의 언어 자각의 문제를 언어 사용과 결부시켜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나아가 문법과 관련된 띄어쓰기 문제를 읽기 및 쓰기와 통합하여 학습자들의 인식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 목차 ]


1부 국어과 교육과정론

국어과 영역 구분 문제


2부 말하기・듣기 교육론

대화의 속성과 위상 고찰

담화와 말하기 평가

준언어적 표현


3부 읽기 교육론

바람직한 독서의 가치

텍스트 요약하기

언어 수행 수준과 읽기


4부 쓰기 교육론

자기소개서 쓰기 지도

단락 중심 협동 작문

갈래와 주체를 고려한 쓰기 평가


5부 영역 통합 교육론

글말과 입말 사용의 통합

언어와 언어 사용에 대한 자각

띄어쓰기에 대한 인식



[ 지은이 ] 서종훈(徐從熏/Suh, Jong-Hoon)


1973년 경남 진주 출생으로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및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교육학 박사). 국어 단락에 대한 연구서로 ≪국어교육과 단락≫, 말하기 교육에 대한 번역서로 ≪모국어 말하기 교육≫, ≪영어 말하기 교육≫을 펴냈으며, 국어교육에 관한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다. 경남과학고등학교 등에서 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했으며, 현재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 재직하고 있다. 



[도서명] 국어교과 교육론

[지은이] 서종훈

신국판(152×224) / 412쪽 / 값 20,000원

발행일 2015년 12월 30일

ISBN 978-89-5996-495-6 93370

[분야]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