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교재

문학비평의 이해와 활용

양정섭 2023. 7. 5. 10:21

이 책은 ‘1부 비평이란 무엇인가’에서 비평의 특성과 기능, 기원 및 비평가의 지위 등에 관해 다루었다. 문학비평에 대한 개념과 역사적인 이해를 위해 문학비평의 기초이론을 폭넓게 정리하였다. 그리고 ‘2부 현대비평은 어떤 것들인가’에서는 13항목에서 30여 개에 이르는 현대비평 방법들을 검토하고 실제 비평의 예문까지 수록하여 이해를 높이려고 노력했다. 후반부의 ‘대화비평과 담론이론’, ‘신역사주의 비평’, ‘문화연구적 비평’, ‘탈식민주의 비평’ 등은 새롭게 주목해야 할 비평담론을 다룬 것이다. 특히, ‘한국의 전통비평’은 서양이론에 매달리며 느꼈던 곤혹스러움을 벗어나기 위해 여러 해 동안 고민한 결과의 소산이다. 

 

 

[ 목차 ]

 

1부 비평이란 무엇인가

1장 비평의 특성과 대상 / 1.1 장르가 지닌 성격 / 1.2 문학비평의 정체와 대상

2장 비평이 맡은 기능 / 2.1 해석하는 일 / 2.2 감상하는 일 / 2.3 평가하는 일

3장 문학비평의 기원과 비평가의 위치 / 3.1 비평의 기원 / 3.2 비평가의 위치

4장 비평의 여러 갈래 / 4.1 비평의 구분 / 4.2 비평의 양상과 실제 / 4.3 비평의 여러 유형 / 4.4 객관적 비평과 주관적 비평 / 4.5 나머지 비평

5장 비평의 발전 형태 / 5.1 고전비평 / 5.2 근대비평 / 5.3 현대비평

6장 비평 창작의 방법 / 6.1 비평문 쓰기의 필요성 / 6.2 비평문 집필 절차 / 6.3 글쓰기의 몇 가지 요령 / 6.4 비평문 작성의 실제

 

2부 현대비평은 어떤 것들인가: 현대비평의 여러 양상

1장 역사주의 비평 / 1.1 개관 및 특성 / 1.2 비평의 주안점 / 1.3 원전비평의 이론과 실제 / 1.4 전기비평의 이론과 실제 / 1.5 역사비평의 이론과 실제 / 1.6 문제점 및 한계점

2장 문학사회학과 마르크스주의 문학비평 / 2.1 중요성 및 개관 / 2.2 문학사회학 / 2.3 마르크스주의 비평 / 2.4 작품비평의 실제 / 2.5 한계점 및 문제점

3장 정신분석학적 비평과 테마비평 / 3.1 개관과 특성 / 3.2 정신분석학적 비평의 이론과 실제 / 3.3 테마비평의 이론과 실제 / 3.4 상이점과 한계점

4장 신화・원형비평 / 4.1 개념과 특성 / 4.2 주요 이론가들 / 4.3 신화와 원형 / 4.4 휠라이트의 원형상징 / 4.5 원형 이미지 / 4.6 원형비평의 실제 / 4.7 신화・원형비평의 문제점

5장 형식주의와 뉴크리티시즘 / 5.1 개관 및 특성 / 5.2 러시아 형식주의 / 5.3 영미의 뉴크리티시즘 / 5.4 방법상의 특징 및 한계점

6장 구조주의와 해체비평 / 6.1 개관과 전개과정 / 6.2 프랑스 구조주의 / 6.3 구조주의 비평의 실제 / 6.4 해체비평론의 이해와 그 한계

7장 기호학적 비평 / 7.1 개관 및 특성 / 7.2 문학기호학 / 7.3 기호학 이론의 전개양상 / 7.4 기호학적 비평의 실제 / 7.5 기호학적 비평의 문제점

8장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 / 8.1 명칭과 차이점 / 8.2 개관 및 특성 / 8.3 이론 형성과 주요 이론가 / 8.4 독자반응비평의 실제 / 8.5 문제점 및 한계점

9장 여성주의 문학비평 / 9.1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비평, 페미니스트 문학비평 / 9.2 페미니스트 문학비평의 세 가지 차원 / 9.3 작품비평의 실제 / 9.4 여성주의 비평의 문제점

10장 대화비평과 담론이론 / 10.1 개관 및 특성 / 10.2 대화비평의 주요 개념 / 10.3 작품비평의 실제 / 10.4 담론이론 / 10.5 작품비평의 실제

11장 신역사주의 비평 / 11.1 개관과 중요성 / 11.2 신역사주의 비평의 전개양상 / 11.3 신역사주의 비평의 특징 / 11.4 신역사주의 비평의 실제 / 11.5 신역사주의 비평의 문제점

12장 문화연구적 비평 / 12.1 개관 및 전개과정 / 12.2 한국 문화연구와 문학비평 / 12.3 문화연구적 비평의 특성 / 12.4 문화연구적 비평의 실제 / 12.5 문화연구적 비평의 문제점

13장 탈식민주의와 한국의 전통비평 / 13.1 문제 제기 / 13.2 탈식민주의의 개념 및 전개 / 13.3 한국의 전통비평 / 13.4 작품비평의 실제 / 13.5 한국비평의 과제와 지평

 

 

[도서명] 문학비평의 이해와 활용(Understanding and Practical Use of Literary Criticism)

[지은이] 이명재(중앙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오창은(단국대 연구교수)

[발행일] 2009년 3월 30일

[쪽수] 428쪽

[가격] 19,000원

[판형] 신국판

[ISBN] 978-89-052-1 93810